
파이썬(Python 기본문법)-01 기본출력(Separator옵션,end옵션,format함수) 및 Escape Code
junheekim
·2022. 12. 14. 14:14
기본출력
print함수를 사용하여 4가지의 방식으로 문자열을 출력 할 수 있습니다.
print('Hello Python!') # 작은따옴표을 이용한 문자열 출력
print("Hello Python!") # 큰따옴표을 이용한 문자열 출력
# 큰따옴표 3개을 이용한 문자열 출력
print("""Hello
Python
!""")
# 작은따옴표 3개을 이용한 문자열 출력
print('''Hello
Python
!''')
결과 값을 보면 작은따옴표3개와 큰따음표3개로 표현한 문자열은 작성한 그대로 출력 된 것 을 볼 수 있습니다.
작은따옴표와 큰따옵표로 작성한 문자열은 개행시 에러가 생겨 작성한 그대로 출력하고 싶을때는 3개씩 묶어서 사용해야 합니다.
<실행 결과>
Separator옵션 , end옵션
여기에 추가적으로 Separator옵션과 end옵션을 추가하여 출력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.
사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
Separator옵션은 문자열을 ,로 연결할때 빈 공간에 값을 sep로 설정한 구분자가 들어갑니다.
print함수를 실행하면 종료되기전에 개행처리가 되고 끝나지만 end옵션을 사용하면 개행처리되지 않고 종료시킬 수 있습니다.
# Separator 옵션 사용 - ,로 연결될때 빈 공간을 sep="안에 값으로 채움"
print('T','E','S','T',sep=',')
print('2019','02','19',sep='-')
print('test','naver.com',sep='@')
# end 옵션 사용 - 개행하지않고 end="안에 값을 끝에 적어준다."
print("Welcome To",end="@")
print("the black parade",end="/")
print("piano notes")
<실행 결과>
format함수 사용
방법1 처럼 사용했을시에는 {}안에는 format함수안에 인자값 순서대로 들어가게 됩니다.
방법2 처럼 {}안에 0,1로 순서가 표시되어 있다면 0에는 apple 1에는 banana가 들어가게 됩니다.
방법3 처럼 {}안에 a,b처럼 문자가 들어있다면 format함수안에 인자값을 설정할시에 a,b의 값을 각각 직관적으로 설정해줘야 합니다.
방법4는 파이썬 3.6버전 이상부터 사용가능하며 {}안에 미리 설정한 변수명을 적어주어서 출력하는데 맨앞에 f를 써줘야합니다.
방법5는 %기호를 사용하는 방법입니다.
# 방법1
print('{} and {}'.format('apple','banana')) # 아무것도 {}안에 없을때는 format순서로
# 방법2
print("{0} and {1} and {0}".format("apple","banana"))
# 방법3
print("{a} are {b}".format(a="apple",b="banana")) # 좀 더 직관적으로
# 방법4 (v3.6 이상~)
age = 20
color = "빨간"
print(f"나는 {age}살이며, {color}색을 좋아해요.")
# 방법5 (%기호를 사용)
print("%s and %d and %f and %c" %("apple",100,4.2,"A")) # %s : 문자열 , %d : 정수 , %f : 실수 , %c : 문자
print("%s and %s and %s and %s" %("apple",100,4.2,"A")) # %s로 다 처리가능
print("Test : %5d, Price : %4.2f" %(123,1234.123)) # %5d : 5자리 정수 %4.2f : 정수부분은 4자리 소수부분은 2자리 넘치면 짤림
print("Test : {0: 5d}, Price : {1: 4.2f}".format(123,1234.123)) # {0: 5d} : 0번키는 5자리정수 {1: 4.2f} : 1번키는 정부부분은 4자리 소수부분은 2자리
print("Test1: {a: 5d}, Price : {b: 4.2f}".format(a=123,b=1234.123)) # {a: 5d} : a는 123를 5자리 정수로 표현 {b: 4.2f} : b는 정부부분은 4자리 소수부분은 2자리로 표현해
<실행 결과>
● 이스케이프 문자(Escape Code)
이스케이프 문자는 말 그대로 탈줄문자로 종류에는 다음과 같이 있습니다.
- 종류 -
\n : 개행
\t : 탭
\\ : 문자
\' : 문자
\" : 문자
\r : 캐리지 리턴
\f : 폼 피드
\a : 벨 소리
\b : 백 스페이스
\000 : 널 문자
print("'You'")
print('\'You\'')
print('"You"')
print('\"You\"')
print("""'You'""")
print('\\you\\\n')
print('\t\ttest')
<실행 결과>
이스케이프 문자를 알면 문자열안에서 작은따옴표나 큰따옴표를 출력할때 유용하게 쓸 수 있습니다.
'Language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파이썬(Python) - Selenium iframe 제어하기 (0) | 2023.03.27 |
---|---|
파이썬(Python) - VSCode 가상환경에서 디버깅시 BreakPoint 무시 에러 (0) | 2023.03.16 |
파이썬(Python) - 모듈 가져오기(import , from , as ) (0) | 2022.12.27 |
파이썬(Python) - VScode에서 제공하는 task runner 설정 (0) | 2022.12.21 |